개인적인 일이나 업무를 보다보면 생각보다 원격을 사용하고 활용할 일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 부분을 생각하면 저 같은 엔지니어에게는 필수품이라고 볼 수 있죠 직접 보기만 하면 금방 끝나는건데 유선상으로 어디에 뭐가 어떻게 있네 없네… 쓸데없이 처리 시간이 늘어날 수 있는데 정말 활용도가 좋습니다.
자 그러면 좋았던 부분들부터 꼽아보겠습니다.
1. 상시 연결 기능 지원
– 이 부분은 크롬 리모드 데스크탑 같은 툴을 이용하는 것도 괜찮습니다만 협업하는 입장에서는 매번 코드를 입력하거나 하는 방식은 다소 귀찮음이 많습니다. 그런데 그런 부분을 꽤나 시원하게 긁어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WOL과 같은 기능도 지원을 해서 더욱이 사용자 편의성을 생각해주었다고 느꼈습니다. 다만 연결방식이 다이렉트 연결방식이 아닌 서버 경유 방식인 탓인지 대체적으로 화질이나 사용함에 있어 답답한 부분들이 있었습니다.
2. 터미널 연결 기능
– 원격을 사용하다보면 항상 느끼는 건데 cmd를 사용해야 할 일이 종종 생깁니다. 거기에 관리자 권한으로 사용을 해야하고요. 그런데 문제는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하면 정작 명령어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이는 원격을 통한 명령어 입력에 대한 방지를 하기 위함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겟스크린미(Getscreen.me)에서는 애초에 터미널 기능을 제공하는데 관리자 권한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여러모로 필요한 경우에 고객에게 요청해서 입력하거나 하는 번거로운 일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3. OS 호환성
– 이런 툴들은 대체로 되는 OS가 있고 안되는 OS가 있고 상당히 제약적인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안드로이드, 리눅스, 맥OS 이런 기타 OS들을 모두에 대해 호환성 좋게 제공한다는 점이 굉장히 좋다고 느꼈습니다. 정말 가끔이지만 태블릿을 PC처럼 사용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이런 경우에는 정말 난감했거든요 ㅎㅎ
우선 대체로 3개정도가 제가 느낀 큰 장점입니다.
이 외에도 장점은 굉장히 많다고 느꼈습니다만 아무래도 실제 고객으로써 이용하게 되는 입장에서도 같이 느낄 수 있는 장점까지 생각했을 때는 이런 부분들이 괜찮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단점을 보겠습니다.
1. 터미널 연결 기능
– 위에서 장점으로 언급한 것과는 반대로 단점으로 크게 느껴질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격으로 무언가를 한다고 하면 괜히 불안함이 들거나 무엇을 하는지 보고 싶어하는 분들이 꽤 많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관리자 권한으로 터미널을 실행하는데 어떤 명령어를 입력하는지, 입력되었는지… 이런 부분들을 사용자 입장에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물론 단순히 해당 툴을 이용해서 연결되는 고객은 해당 기능에 대한 부분을 모르겠지만 알고 있는 상태라면 상당히 연결하기 찝찝할 것 같습니다. 허용 요청이나 진행 중인 내용에 대해 알 수 없으니까요.
2. 연결 품질
– 전반적으로 연결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지만 직접 연결 방식이 아닌 서버를 경유하는 통신하는 방식인건지 다소 품질이 아쉬울 때가 많았습니다. 이런 부분은 직접 연결 방식과 서버 경유 연결 방식을 둘 다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습니다.
3. 특정 링크를 통한 연결
– 이 부분이 제일 아쉬웠는데요 특히나 컴퓨터를 잘 모르시는 분들을 통해서 진행하려고 하면 이 부분이 제일 어렵습니다. 이전에 사용하던 헬프유라는 툴에서는 www.365.co.kr로 접속을 하고 상담원에게 발급된 6자리의 코드만 입력하면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이었습니다. 사용자측에서 연결을 하기에는 오히려 간단한 도메인에 접속해서 코드를 입력하는 방식이 안내하여 연결하기에는 더 쉬울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상당히 만족스러운 툴이라는게 결론입니다.
아직까지는 직접적으로 업무에 이용해본 적은 없지만 개인적인 용도로의 사용에는 더할나위 없이 충분하다는 결론입니다.
2FA를 지원하는 로그인과 관련된 텔레그램 API를 통한 연동 기존 업무환경에서는 더할나위 없이 적합하다고 느끼며 가능하다면 회사쪽에서 해당 툴로 바꾸어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브라우저 기반 연결방식인 부분도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이런 툴을 평생 무료 라이센스로 제공해준 사실에 감사드리며 혹시나 이러한 툴에 대해 궁금하고 더 알고 싶은 내용이 계신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편하게 남겨주시기 바랍니다.